반응형
목록회귀분석 (1)
반응형
오랑우탄의 반란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4u6i/btsIZ7oz3ro/KcOO84NhY6nZCoLCCUBkkk/img.png)
로지스틱회귀란?독립변수 Y의 선형 결합을 이용해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 기법 로지스틱회귀 이론만약 X를 연속형 변수로 두고 Y 를 특정 값이 될 확률로 설정한다면, 앞서 배웠던 선형회귀로는 표현이 불가능할 것입니다. 선형 함수는 발산하기 때문에 실제 확률이 0보다 작거나 1보다 크게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. 그래서 이 한계를 보완하고자 로지스틱회귀를 사용합니다.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함수에 로그를 취해서 Y값이 0, 1로 수렴하도록 설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즉, Y가 특정 범주에 속할 때 범주형 변수에 대한 분석으로 로지스틱회귀가 적합합니다. 로지스틱회귀 수식로그함수가 어떻게 그려지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. 1. Odds RatioOdds ratio (오즈비)란..
PYTHON/머신러닝
2024. 8. 9. 21:27